각막 클리닉

각막이식수술이란 ?

각막(눈동자)은 눈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유리와 같이 투명한 조직이지만 홍채의 색깔에 따라 겉으로 보기에는 각막 뒤쪽의 눈의 조직인 홍채의 색깔에 따라 갈색, 검은색, 회색, 파란색, 회색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여러 가지 질환(염증, 외상, 선천성)으로 인해 그 투명성을 상실하게 되면 각막혼탁이 생기게 되고 그에 그 에 따라 시력이 저하되게 됩니다. 이런 경우 불투명한 각막을 제거하고, 기증한 분의 투명한 각막으로 대체하는 수술을 각막이식술이라고 합니다.

어떤 경우에 각막이식수술을 받나요 ?

첫째는 시력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입니다. 각막혼탁 외에 안구의 모든 구조가 정상일 때이며 이런 경우의 예는 백내장 수술 후 생기는 수포성 각막병증( 백내장 수술 후 각막의 내피세포의 기능부전으로 각막부종을 일으켜 혼탁이 생기는 병), 각막염이나 각막의 외상 후 각막혼탁, 원추각막( 유전적인 병으로 각막의 중요한 단백질인 콜라겐의 변성으로 인한 각막의 구조적 약화로 인해 각막이 얇아지면서, 안구의 압력을 이기지 못해 각막이 앞으로 돌출되는 병)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둘째는 긴급하게 눈의 구조를 유지하는 목적으로 각막이식수술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한 각막염이나, 외상으로 인한 각막천공(각막에 구멍이 뚫리는 현상으로 그대로 방치하면 안구 조직 내로 염증이 침투하여 안구를 유지하기 힘든 경우가 생김)등을 예를 들 수 있습니다.

셋째는, 치료적 목적으로 하는 각막이식입니다. 각종원인의 각막염( 박테리아, 진균, 바이러스 )이 발생하여, 충분한 항 박테리아제제, 항 진균제제, 항 바이러스제제를 사용해도 치료가 되지 않고 더 진행할 때 각막염이 있는 각막을 제거하고 기증한 새로운 각막을 이식하는 경우입니다.

넷째는 미용적 목적으로 각막이식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심한 각막반흔으로 인해 눈에 띨 정도로 각막혼탁( 백태 )이 심해 미용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 각막이식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 받기 전 절차와 수술 방법을 알려주세요.

본원 안과 각막이식 클리닉을 방문하여, 여러 가지 안과 검사를 받은 후에 위에서 설명한 각막이식술의 대상이 되는지는 먼저 결정하고, 각막이식 대상으로 선정되면 안은행의 각막대기자 명단에 등록합니다. 각막이식수술은 꼭 각막 기증자가 필요하며, 본원 또는 다른 병원에서 각막기증자의 질환으로 인한 사망이나 뇌사자의 자발적 기증으로 공여각막이 본원에 도착하면 대기자 명단에서 순서대로 각막이식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술방법은 각막이식 수여자의 혼탁이 생긴 각막 중심부분을 을 7.5 - 8밀리미터를 제거한 후 기증된 각막의 중심부분을 채취하여 대상환자의 제거된 각막중심에 모양을 잘 맞추어 가는 봉합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입니다. 수술 후 이식거부반응(다른 장기에 비해 그 가능성이 적지만 그래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을 줄이기 위해 면역억제 효과가 있는 점안 제와 복용 약을 일정기간 그 양을 줄이면서 투여 받아야 하며, 안과외래에서 정기적인 안과적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닫기